동물학
침팬지와 인간은 진화 역사 중 대략 99.5퍼센트를 공유
‘주의 전환 과시 행동 distraction display’
‘최적자 the fittest’
‘집단선택설 Theory of group selection’
‘유전자선택설 Theory of gene selection’
‘개체선택론자’
‘종 차별주의’
‘생식질의 연속성 continuity of the germ-plasm’
자연선택
다윈의 ‘최적자 생존 survival of the fittest’은 실제로 안정자 생존 survival of the stable이라는 보다 더 일반적인 법칙의 특수한 예다.
알프스의 마터호른 Matterhorn 봉우리
퓨린 purine, 피리미딘 pyrimidine
‘원시 수프’
운반자 vehicle
갈색 눈의 유전자와 청색 눈의 유전자같이 두 개의 유전자가 염색체의 같은 위치에서 경쟁할 경우, 이들을 서로의 대립 유전자 allele라고 부른다.
유전자들은 자기 복제자이고 우리는 그들의 생존 기계다. 우리의 임무를 다하면 우리는 폐기된다. 그러나 유전자는 지질학적 시간을 살아가는 존재이며, 영원하다.
이론적으로 DNA 분자는 그 사본 형태로 1억 년 동안 살아남을 수 있다.
‘치사 유전자’란 자신을 지니고 있는 개체를 죽이는 유전자다. 반 半 치사 유전자는 개체가 쇠약해지도록 하여 다른 원인에 의해서 죽을 가능성이 높아지도록 한다.
많은 식물은 흡근을 뻗어서 무성생식을 한다.
꿀벌은 부저병 foulbrood이라는 세균성 전염병에 걸린다. 이것은 꿀벌의 애벌레나 번데기가 벌집 속에서 세균에 감염되어 썩는 병이다. 일벌은 병에 걸린 애벌레의 봉방을 발견한 뒤 그 밀랍 뚜껑을 떼고 애벌레를 끄집어내 벌집의 출입구로 끌고 가서 쓰레기장에 내던져야 한다.
‘말하는’ 침팬지 와쇼 Washoe(미국 수화를 쓰는 이 침팬지의 능력은 언어학자들에게 큰 관심거리다)
진화적으로 안정한 전략 evolutionarily stable strategy, ESS : 개체군에 있는 대부분의 구성원이 일단 그 전략을 채택하면 다른 대체 전략이 그 전략을 능가 할 수 없는 전략
사자가 사자를 잡아먹지 않는 것은 그것이 그들에겐 ESS가 아니기 때문이다.
혈연선택 kin selection : 혈연선택은 가족 내 이타주의를 설명한다. 가까운 혈연관계일수록 선택이 강하게 작용한다.
근연도
고의적으로 모성 본능을 악용하는 예는 다른 새의 둥지에 산란하는 뻐꾸기 같은 ‘탁란조’ 에서 볼 수 있다. 뻐꾸기는 부모 새에게 내장된 “자기 둥지 속에 있는 새끼 모두에게 친절하라”라는 규칙을 악용한다.
순위제 : 동물들은 어떻게 해도 이길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있는’ 상대에 대해서는 싸우지 않고 항복하는 경향이 있다. ‘세력 순위 peck order (먹이를 쪼아 먹는 순서)’
동식물을 통틀어 수컷을 수컷, 암컷을 암컷이라고 명명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한 가지 기본적인 특징은, 수컷의 생식 세포는 암컷에 비해 매우 작고 그 수가 많다는 것이다.
그 결과 수컷은 수정하는 순간 자신의 값싼 정자보다 더 많은 투자를 이미 자식에게 한다.
(장래의 짝에게 둥지 짓기를 요구하는 것은 수컷을 붙잡아 두기 위한 암컷의 효과적 방법 중 하나다)
암컷은 새끼와 비슷한 제스처를 취해 수컷에게 먹이를 요구한다. 구애 급식 courtship feeding은 아마도 수컷이 알 자체에 직접 투자한다는 것을 의미할 것이다. 따라서 구애 급식은 암컷과 수컷이 초기에 자식에게 주는 투자량의 격차를 좁히는 효과가 있다.
확산 문제 때문에 수컷은 우선 암컷이 난자를 방출하기를 기다렸다가 정자를 뿌리는 수밖에 없다. 그러나 그 덕분에 암컷은 실로 귀중한 몇 초를 얻을 수 있다. 그 사이에 사라짐으로써 난자를 수컷에게 떠맡겨 수컷을 트리버스의 ‘가혹한 구속’ 딜레마에 빠뜨릴 수 있다.
동물계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번식 체계, 예를 들면 일부일처제, 난혼, 하렘 등은 모두 암수 사이 이해 대립의 관점으로 설명 될 수 있다.
개미, 벌, 말벌 등을 포함하는 그룹을 벌목 Hymenoptera이라고 한다. 벌목 곤충의 집에는 일반적으로 성숙한 여왕이 한 마리밖에 없다. 여왕은 젊어서 결혼 비행을 한 번 하고, 그때 10년 또는 그 이상의 여생 동안 쓸 정자를 저장한다. 수년에 걸쳐 여왕은 정자를 일정량씩 방출하여 수란관을 통과하는 난자를 수정시킨다. 그러나 모든 알이 수정되는 것은 아니다. 미수정란은 수컷이 된다. 즉 수컷에게는 아비가 없고, 수컷의 몸에 있는 모든 세포는 우리와 같이 염색체 두 세트(한 세트는 어미, 한 세트는 아비로부터 받음)가 아니라 한 세트(어미에게서 받음) 만 갖는다.
우리의 세포 하나하나 속에는 미토콘드리아라고 불리는 작은 기관이 들어 있다. 미토콘드리아는 우리가 필요로 하는 에너지의 대부분을 생산하는 화학 공장이다.
죄수의 딜레마
[참고도서, ‘20.09.19] 리처드 도킨스 저, 홍영남 역, <<이기적 유전자>>, 을유문화사, 2018